DispatcherServlet과 프로젝트 동작의 이해
DispatcherServlet)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해주는 일종의 게이트웨이라고 보면 된다.
JSON 포맷으로 변환시키고 클라이언트한테 반환하는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요청 값을 처리하기 위해서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제일 앞에 놓여지며
중앙 계층식의 요청 처리를 하기 위해
FrontController로서 사용되는 DispatcherServlet
사용자의 요청과 끝은 디스패처서블릿
클라이언트 요청 값을 JSON 포맷으로 반환
View를 가지지 않는 Controller를 Rest Controller라고 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 값이 있을 경우에 반환 데이터를 response body에 포함하지 않은 채 바로 전달 가능
즉, 요청 처리 결과 값을 반환시킬 수 있는 함수를 등록해서 바로 사용 가능
일반적 Controller(RestController가 아님) 쓰는데 반환 형태가 JSON 형태의 데이터 값이면
responsebody로 변경해서 반환해줘야 한다. ->요즘 스프링은 안 그래
위 그림에서 http response) 처리 결과 값이 클라이언트에 바로 반환된다.
REST Controller는 기존의 Controller 기능과 ResponseBody 기능을 다 가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환 값이 JSON 형태일 경우 별도로 @ResponseBody로 반환시켜서 사용 가능
이번 시간
어떤 오토configuration 파일이 작동되는지
DispatcherServlet과
REST Controller에 대해 알아봤다.
POST 사용자 등록하기 편 (0) | 2023.01.16 |
---|---|
User Service API 추가-User Domain 생성 및 GET API편 (0) | 2023.01.15 |
path variable 사용 (0) | 2023.01.15 |
댓글 영역